공명2 [유기 화학] 1-3. 공명(resonance) 영상 강의 공명이란?골격구조식으로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나타내보았다.그러나 정말 저 화합물이.. 두 탄소가 2중결합을 형성하고, 남은 한 탄소가 양전하를 가지는 걸까??? 실제로는 2개의 전자가 세 개의 탄소의 p오비탈에 퍼져 있고, 이에 따라 양전하도 부분전하처럼 퍼져있을 것이다.2중결합(1), 단일결합(1)보다는 2개의 1.5중결합인 셈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공명구조를 이용한다.저렇게 괄호와 화살표로 나타내면 된다.혹은 resonance hybrid를 이용하기도 한다. 공명구조에 대해 주의할 점이 있다. ★ 실제로 두 상태를 왔다갔다하는게 아니다!!실제로는 resonance hybrid에 가까운, 두 상태의 combination이다. ★모든 공명구조가 똑같이 기여하는.. 2024. 6. 29. <일반 화학> 8장 후반~9장- 공유 결합: 오비탈 공유 결합 화합물 - 구조 모형 VBT 모델 (원자가 결합 이론) : 루이스 구조+VSEPR+혼성화 이론(양자 역학) 편재된 전자 모형 (LE model) 1. 루이스 구조 - 원자가 전자 배치 설명 전자가 핵과 핵 사이에 편재되어 있다고 친 후, 원자가 전자의 홀전자의 전자쌍 결합으로 설명 불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 배치 - duet rule, octet rule 2.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VSEPR) 모형 - 분자 구조 예측 → 루이스 구조만 알고도 구조 예측 가능 BUT.. 이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 -홀전자만 결합에 참여한다면 CH4는 뭔데? -또 CH4의 전자쌍들의 각도는 90도가 아니라 109.5도이다 ▶▶▶ 혼성 오비탈 등장 3. 혼성 오비탈 - 본래의 원자 오비탈이 아닌 다른 .. 2023. 5.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