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기화학20

[유기 화학] 6. Alkyl halide의 치환/제거 반응: SN2 SN1 E2 E1 영상강의    Alkyl Halide 명명법fluoro-  chloro-  bromo-  iodo-  작용기 취급탄소 치환기와 같은 우선순위임. 그냥 알파벳 순으로 순서 매겨주면 됨  특징1. induction전자를 끌어당겨, 친핵성 공격을 잘 받게 한다  2. 좋은 leaving groupX-는 octet으로 인해 안정함. 좋은 이탈기임  >> 치환, 제거 반응에 유리함!   치환 vs 제거반응치환 반응제거 반응친핵체와 반응염기와 반응X- 대신 친핵체 붙음염기가 양성자를 빼앗아 이중결합 생성, X- 제거됨SN2, SN1E2, E1         SN2SN1E2E1 메커니즘친핵체공격+이탈기이탈 동시에 일어남이탈기이탈 후 친핵체공격*탄소양이온 거침염기공격+이탈기이탈 동시에 일어남이탈기이탈 후 염기공격*탄소.. 2024. 7. 24.
[유기 화학] 5. 합성 반응에 필요한 기본 개념 영상 강의     유기화학 반응에서 화살표의 패턴에는 크게 4가지가 있다.1. nucleophillic attack2. loss of a leaving group3. proton transfer 4. rearrangement친핵체가 친핵성 자리를 공격(전자쌍을 제공)이탈기가 떨어져나감(공유전자쌍을 가지고..)양성자가 다른 곳으로(1,2의 조합이라 볼 수 있음)탄소양이온과 바로 인접한 곳의 hydride, methyl이 이동해,탄소양이온 위치가 바뀜            1. nucleophillic attacknucleophile, electrophile이 뭘까?nucleophile(친핵체)electrophile(친전자체)전자 밀도가 높음 - 전자를 주고 싶음전자 밀도가 낮음 - 전자를 갖고 싶음-음전하,.. 2024. 7. 24.
[유기 화학] 4. 입체화학, 이성질체 - 구조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거울쌍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영상강의   이성질체 분류  이성질체(isomer): 화학식(구성 원자 종류, 수)은 같은데 다른 화합물 구조 이성질체(constitutional isomer) : 원자의 연결이 아예 다름. 엄연히 다른 화합물 입체 이성질체(stereoisomer): 어디에 어떤 원자가 달렸는지는 같지만, 공간 상 배열이 다름. 따라서 엄연히 다른 화합물-거울쌍 이성질체(enantiomer): 거울쌍처럼 완전히 대칭 (모든 chircal C에 대해 반대 . . .)-부분입체 이성질체(diastereomer): 입체 이성질체 중, 거울쌍은 아님 (일부 chiral C에 대해 반대, alkene의 E/Z)   구조 이성질체 (constitutional isomer)  구조 이성질체 예시 이처럼 아예 어디에 뭐가 달렸는지가 .. 2024. 7. 18.
[유기 화학] 3. 알케인 (Alkane) 영상강의                  알케인(Alkane): 단일결합으로만 이루어진(=포화 된) 탄소화합물       Alkane 명명법*숫자 접두사meth eth prop but penthex hept oxt non decundec dodec tridec tetradec ...    1. 가장 긴 사슬(모체)을 찾는다고리, 선형 무관하게 가장 긴 것으로 고름숫자접두사aneex. hexane, cyclooactane.. 2. 치환기를 파악한다숫자접두사ylex. pentyl, cyclobutyl ※복잡한 치환기의 경우달리기 시작한 곳이 1제일 긴 사슬을 모체처럼 취급 (-ynl), 나머지는 치환기처럼 취급  * -는 숫자와 문자 사이에서 쓴다괄호(   )로 묶기ex. (2-ethyl-1-methylpen.. 2024. 7. 16.
[유기 화학] 2. 산과 염기 (Acids and Bases) 영상 강의  1. 산과 염기란?1-1. 브뢴스테드-로우리 vs 루이스브뢴스테드-로우리 산염기루이스 산염기브뢴스테드 로우리 산: H+ 주개브뢴스테드 로우리 염기: H+ 받개루이스 산: 전자쌍 받개루이스 염기: 전자쌍 주개*즉, 염기는 줄 고립전자쌍이 있어야 함 ***루이스 산염기가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염기를 포함함(즉, 브->루  /  루o브x도 존재)   그림에서위 반응은 양성자를 주고 받는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염기임동시에 전자쌍을 주고 받는 루이스 산염기임 아래 반응은 양성자의 이동은 없지만 전자쌍을 주고 받는 루이스 산염기임(B의 빈 p오비탈에 전자쌍이 들어간다)*형식전하 표시에 주의할 것   ※반응에서의 화살표유기화학에서는 화살표가 전자의 흐름을 의미한다!반응의 메커니즘을 나타낼 때 이용한다. *전.. 2024. 7. 11.
[유기 화학] 1-3. 공명(resonance) 영상 강의    공명이란?골격구조식으로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나타내보았다.그러나 정말 저 화합물이.. 두 탄소가 2중결합을 형성하고, 남은 한 탄소가 양전하를 가지는 걸까??? 실제로는 2개의 전자가 세 개의 탄소의 p오비탈에 퍼져 있고, 이에 따라 양전하도 부분전하처럼 퍼져있을 것이다.2중결합(1), 단일결합(1)보다는 2개의 1.5중결합인 셈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공명구조를 이용한다.저렇게 괄호와 화살표로 나타내면 된다.혹은 resonance hybrid를 이용하기도 한다.    공명구조에 대해 주의할 점이 있다. ★ 실제로 두 상태를 왔다갔다하는게 아니다!!실제로는 resonance hybrid에 가까운, 두 상태의 combination이다. ★모든 공명구조가 똑같이 기여하는.. 2024. 6. 29.
[유기 화학] 1-2. 작용기(Functional Group) 영상 강의     유기화학 작용기 정리 alkane, alkene, alkynearomatic alcohol thiolether sulfide disulfide                                                                                         amine                                                                     alkyl halideketone / aldehyde / carboxylic acid / ester / acyl halide / amide 2024. 6. 28.
[유기화학] 1-1. 골격구조식(bond-line structure), wedge&dash 영상 강의    골격구조식을 보고 화학식을 알 수 있도록,화학식을 보고 골격구조식을 그릴 수 있도록 연습해야 함  골격구조식(bond-line structure) (1) C는 각임. 따로 표시하지 않음(2) sp3, sp2 C는 지그재그로, sp C는 일자로 그린다     실제 각을 반영(3) C에 달린 H는 표시하지 않음 - 안 그려도 octet 규칙으로 알 수 있다(4) 형식전하(formal charge)는 꼭 표시해야 한다 -  특히 전자쌍, 수소 개수 파악에 필수적임. ex. C+면 3개의 팔만 가질 것(5) C 이외의 원자에 달린 H는 표시해야 한다  *그 외에도 주의해야 할 점*sp3 C는 rotation이 가능하다.반면 sp2 C는 rotation이 불가능하다. 파이결합에 의해 회전이 불가능.. 2024. 6. 28.
[유기 화학] 0-2. 화학반응의 이해 - 열역학, 반응속도론 영상강의     유기화학이란?탄소(C)를 함유한 분자의 반응=전자의 흐름=결합의 깨짐과 생성그러니 반응을 이해해야 한다.  열역학 vs 반응속도론 열역학(Theromodynamics)반응속도론(Kinetics)반응이 자발적으로 일어날 것이냐?반응이 얼마나 빨리 일어나는가? △G△S계 & △S주위△S계 &  △H계가 결정함활성화 에너지 Ea가 결정함처음상태와 나중상태가 결정전이상태가 중요 둘은 무관하다.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ex. 다이아몬드가 흑연으로 바뀌는 과정은 자발적이지만, 매우 느림즉, 열역학적으로 선호되지만, 반응속도론에서 불리함       열역학(thermodynamics) 1,2,3은 결국 똑같은 이야기이다. (1) 우주의 엔트로피(계와 주위의 엔트로피 총합)가 증가해야 반응이 자발적이다.. 2024. 6. 28.
[유기 화학] 0-1. 공유결합의 이해 - 혼성오비탈, 극성, 분자 간 힘 등 영상 강의       본격적인 유기화학 공부 전, 알아야 하는 개념들을 정리했습니다.   유기화학이란?탄소(C)를 함유한 분자의 반응=전자의 흐름=결합의 깨짐과 생성그러니 공유결합을 이해해야 한다.  공유결합 Covalent bond & 에너지 공유결합이 생기는 이유는 에너지가 낮아져서이다.원자 간 거리에 따른 에너지 -가까워질수록 인력에 의해 에너지가 낮아지다가-너무 가까우면 반발력에 의해 에너지가 높아짐가장 에너지가 낮아지는 지점에서 공유결합이 형성 됨 1) 그 때가 거리가 bond length2) 결합 전과 비교했을 때 방출되는 E, 즉 얼마나 에너지가 낮아졌는지가 bond strength이다.역으로 결합을 깨려면 그 에너지 만큼 가해야 함           오비탈과 공유 결합간단하게 중요한 개념만.. 2024. 6. 27.